비염의 분류
콧물, 코막힘, 재채기가 주증상인 비염은 원인과 증상에 따라 여러 가지로 분류됩니다.
가장 흔한 비염은 알레르기성 비염입니다.
통년성비염은 일년 내내 지속적으로 발생하는 비염이고, 계절성비염은 봄 또는 가을에 꽃가루, 먼지 등 주변 환경에 따라 악화되는 비염입니다.
알레르기와 상관이 없는 비염도 있습니다.
술이나 과도한 긴장, 스트레스에 반응하는 혈관박동성비염, 만성적인 비염상태로 야기된 비후성비염, 코점막의 기능이 상실되면서 발생하는 위축성비염 등이 있습니다.
증상과 징후
공통적으로 코막힘과 콧물이 주증상이고, 알레르기의 경우 재채기와 코주변, 눈주변의 소양감이 동반됩니다.
콧물이 뒤로 넘어가는 후비루 증상을 호소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비염이 심한 경우 부비동에 염증이 발생하는 축농증이 병발하기도 합니다.
비염이 있는 환자의 비강상태를 관찰하는 것은 치료에 있어서 매우 중요합니다. 비갑개라 불리는 비강점막의 상태는 비염 상태뿐만 아니라 환자의 개별적인 건강상태를 반영합니다. 또한, 비중격 만곡증이 있는지, 비강내 정체된 콧물의 양상도 확인해야 합니다.
비염의 치료
비염은 어린아이부터 성인까지 다양하게 나타납니다. 비율상 유소아에서는 알레르기성 비염이 많고, 성인기로 갈수록 비후성 비염, 위축성비염이 많이 관찰됩니다.
한약 치료는 비염치료에서 가장 중요한 치료법입니다.
반복적으로 발생하는 비염 증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환자의 체질 개선이 필수이기 때문입니다.
추위를 많이 타거나, 소화기능이 약하고, 장이 민감한 경우 신체 상태를 개선해주지 않으면 비염이 쉽게 재발하게 됩니다.
반대로 몸에 열이 많거나, 신경이 예민한 경우 비점막이 쉽게 충혈되기 때문에 이를 해결해줘야 비염이 치료됩니다.
침치료법은 답답한 코막힘을 일시에 해소시켜줄수 있습니다. 비강내 침술로 하비갑개의 부종을 순간적으로 감소시킬수 있으며, 다수의 논문으로 효과가 검증된 비염 침치료를 통해 한약과 더불어 효과적인 비염치료를 할 수 있습니다.